근로기준법34 근로기준법 근무시간 & 휴게시간 오늘 포스팅할 내용은 근로기준법 근무시간 및 근로기준법 휴게시간 관련 내용입니다. 회사에 다니거나 아르바이트 중인 분들은 매일 일정하게 정해진 시간에 따라 일을 하실텐데요. 이때 근로기준법에 정해진 근무시간과 그에 따른 휴게시간이 법으로 정해져 있습니다. 만약 근로기준법 근무시간을 초과해서 근무하게되면 회사는 근로자에게 추가 임금을 지불해야 합니다. 하지만 그렇게 하지 않는 회사들을 자주 볼 수 있어요. 우리 눈에는 보이고 정부 당국에는 보이지 않는 그런 묘한 회사들이 생각보다 많답니다. 저는 지금껏 연장근로에 대한 수당을 정당하게 받아본 적이 없습니다. 우리가 근로기준법 휴게시간 및 연장 근무시간에 따른 수당 등의 법을 잘 숙지하고 있어야 불이익을 피하거나 최소한 항의를 할 수 있습니다. 근로기준법 근.. 2021. 12. 14. 근로기준법 탄력적근무제 주52시간 탄력근무제 근로기준법 탄력적근무제 주52시간 탄력근무제 서론 2018년은 근로기준법 역동의 해였습니다. 특히 근로기준법 상 근무시간 52시간 연장근로 제한에 관한 문제로 인해 대서특필되고 대립이 심화되어 알려졌습니다. 이는 주로 포괄 연봉제와 야근수당 문제로 논란이 되었으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탄력적 근무제가 도입되었습니다. 탄력적 근무제란? 탄력적 근무제는 근로시간을 더 유연하게 조절하는 제도로, 근로자와 기업 모두에게 이점을 제공합니다. 일부 업종에서는 성수기와 비수기로 인해 근로자의 일정에 유연함이 필요한 경우가 있습니다. 이때 법정근로시간인 하루 8시간으로만 근무를 강제하는 것은 비효율적일 수 있습니다. 탄력적 근무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입되었습니다. 주 52시간 탄력근무제와 그 문제.. 2020. 2. 28. 근로기준법 여름휴가 연차에 포함 되나요? 근로기준법 여름휴가 연차에 포함되나요? 프리랜서로 일하는 나로서는 사실 연차 개념이 없다. 한 곳에서 1년 이상을 근무하면 나름 연차 보장을 받게 되지만, 프리랜서가 한 직장에서 1년 이상 근무하기란 쉽지 않다. 비정규직 계약직 근로자의 비애다. 물론 프리랜서다 보니, 프로젝트 간에 일정 차이에서 충분한 휴식기를 갖거나, 여행을 다니는데 지장은 없다. 하지만 만약 프로젝트 기간이 여름휴가 기간을 포함한다면 어떨까? 예컨대 6월 중순부터 9월 말까지 프로젝트라면 사실상 프리랜서 개발자는 여름휴가를 가기 애매하다. 정규직 근로자들은 근로기준법 여름휴가를 보장받을까? 사실 이 시즌에 가장 많이 올라오는 질문 중 하나가 "여름휴가는 연차에 포함되나요?"라는 질문이다. 답은 당연히 여름휴가도 연차에 포함된다. 여.. 2019. 7. 2. 근로기준법 연차 월차 연차수당 및 발생기준 근로기준법 연차 월차 연차수당 및 발생기준 한해의 절반이 지나면 은근히 신경 쓰이는 것이 있습니다. 특히 요즘처럼 여름휴가철이면 그렇죠. 바로 근로기준법 상의 연월차휴가입니다. 근로기준법 월차 연차휴가 문제는 그 자체는 매우 심플한 문제지만 현실은 복잡한 문제가 얽혀 있고, 법을 지키지 않는 고용주 때문에 법대로만은 되지 않기도 합니다. 연차휴가에 대한 근로기준법의 법적 근거부터 살펴보겠습니다. 근로기준법 연차 휴가의 근거 근로기준법 연차 휴가의 근거 연차발생기준 연차발생기준 연차와 관련된 근기법규정은 근로기준법 60조에 "1년 80% 이상 출근한 근로자에게는 15일의 유급의 휴가를 주어야 한다"라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바로 이 유급휴가가 연차입니다. 이 개념은 출근해서 일해야 하는 날에 출근하지 않고 .. 2018. 7. 12. 이전 1 ··· 5 6 7 8 9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