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직업,직장148

공무원 정근수당, 정근가산금, 군인 초과근무수당 (시간외수당), 명절수당, 교사 연가보상비, 공무원 연가일수 공무원 정근수당, 정근가산금, 군인 초과근무수당 (시간 외 수당), 명절수당, 교사 연가보상비, 공무원 연가일수 공무원 정근수당 공무원 정근수당은 1월과 7월 일년에 두 번 월급여 지급날 입금된다. 정근수당은 자신의 월급과 호봉으로 계산한다. 공무원 정근수당 계산 및 휴가비,초과근무수당 총정리 정근수당가산금은 직급에 관계없이 근무년수에 따라 지급된다. 공무원 군인 초과근무수당, 시간외수당 공무원 초과근무수당 단가표 공무원의 초과근무수당은 1월 급여명세서에서 빠지고 12월에 11월 치와 12월 치를 정산한다. 공무원 시간 외수당은 전혀 야근이나 초과근무를 하지 않아도 매달 10시간 분의 시간외 수당이 지급된다. 공무원 명절휴가비, (추석상여금, 설상여금) 명절휴가비는 일 년에 두 번 설과 추석에 본봉의 6.. 2018. 7. 24.
근로기준법 연차 월차 연차수당 및 발생기준 근로기준법 연차 월차 연차수당 및 발생기준 한해의 절반이 지나면 은근히 신경 쓰이는 것이 있습니다. 특히 요즘처럼 여름휴가철이면 그렇죠. 바로 근로기준법 상의 연월차휴가입니다. 근로기준법 월차 연차휴가 문제는 그 자체는 매우 심플한 문제지만 현실은 복잡한 문제가 얽혀 있고, 법을 지키지 않는 고용주 때문에 법대로만은 되지 않기도 합니다. 연차휴가에 대한 근로기준법의 법적 근거부터 살펴보겠습니다. 근로기준법 연차 휴가의 근거 근로기준법 연차 휴가의 근거 연차발생기준 연차발생기준 연차와 관련된 근기법규정은 근로기준법 60조에 "1년 80% 이상 출근한 근로자에게는 15일의 유급의 휴가를 주어야 한다"라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바로 이 유급휴가가 연차입니다. 이 개념은 출근해서 일해야 하는 날에 출근하지 않고 .. 2018. 7. 12.
상습 임금체불 사업주 명단 어렵게 취업한 회사가 알고 보니 임금이 제대로 지불되지 않는 기업이라면 얼마나 허망할까요?고용노동부에서는 이런 피해자가 생기지 않도록 예방하고자 1년에 두 번 상습 임금체불 사업주 명단을 공개하고 있습니다.하지만 막상 고용노동부 홈페이지에서 검색하면 찾기가 쉽지 않아 해당 링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상습 임금체불 사업주 명단 공개 기준은 임금 등 체불로 인한 유죄 인정 2 회 이상, 체불총액 금액이 3천만 원 이상인 경우에 해당됩니다.고용노동부 임금체불자 리스트 바로가기상습체불자 정보 공개에서 공개되는 개인 정보는 성명, 나이, 주소, 사업장명, 소재지로 고용노동부 홈페이지, 지방 노동관서 게시판, 민간포털 등에 정보가 연계됨으로써 해당 기업이나 사업주의 구인활동에 제한을 하게 됩니다.이용방법은 해당 링.. 2018. 6. 28.
근로기준법 근로시간 209시간 계산법 월 226시간? 근로기준법 근로시간 209시간 계산법 월 226시간? 직장인이라면 하루 중에서 가장 기다려지는 시간이 바로 퇴근시간이죠. 근로자들이 하루에 법적으로 근무해야 할 시간은 몇 시간일까요? 다들 잘 알다시피 8시간입니다. 그런데 또 법에 의해 4시간마다 30분은 쉬는 시간을 주도록 정해져 있어서 8시간 근무하는 근로자에게는 1시간의 휴게시간을 주어야 하죠. 그렇게 주어지는 1시간 휴게시간의 대부분이 점심시간으로 활용되는 것이죠. 때문에 우리가 회사에 9시간을 있게 되지만 근로시간은 8시간으로 잡히는 것이 바로 점심시간 1시간 덕분이죠. 이렇게 8시간씩 주당 5일 근무를 하면 주 40시간 근무가 되는 것이죠. 이런 시간 계산이 왜 중요하냐면 근로자가 법으로 정해진 근로시간 이외의 추가 연장근로를 제공하게 되면,.. 2018. 6. 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