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퇴직금

퇴직금 계산방법 - 근로자 퇴직급여 보장법

by LABOR 수달김수달 2018. 8. 29.
반응형

퇴직금 계산방법 - 근로자 퇴직급여 보장법

근로자 퇴직급여 보장법에 따라 근로자는 근속 기간에 따라 퇴직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퇴직금을 계산하는 방법과 예제를 살펴보겠습니다.

퇴직금 계산방법

근로자 퇴직급여 보장법에 따르면 퇴직금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퇴직금=[(1일 평균임금×30일)×총 계속근로기간]÷365

이때, 1일 평균임금은 퇴직 전 3개월간의 평균 임금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월급과 근속년수를 곱하는 방법으로 대략적인 금액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 계산에는 몇 가지 요소가 더 들어갑니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 예제를 통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퇴직금 계산방법 - 근로자 퇴직급여 보장법
퇴직금 계산방법 - 근로자 퇴직급여 보장법

퇴직금 계산 예제

아래는 퇴직금 계산의 예제입니다:

  • 입사일자: 2006년 11월 2일
  • 퇴사일자: 2009년 10월 16일
  • 재직일수: 1080일
  • 월기본급: 1,600,000원
  • 월기타수당: 140,000원
  • 연간 상여금: 5,000,000원
  • 연차수당 지급기준액: 30,000원

위의 정보를 바탕으로 퇴직금을 계산해보겠습니다.

  1. 기간별 임금
    기간별로 월 기본급과 기타 수당을 확인합니다.
기간 기간별 일수 기본급 기타수당
2009.7.16 ~ 2009.7.30 15일 800,000원 70,000원
2009.8.1 ~ 2009.8.31 31일 1,600,000원 140,000원
2009.9.1 ~ 2009.9.31 31일 1,600,000원 140,000원
2009.10.1 ~ 2009.10.15 15일 800,000원 70,000원
  1. 평균 임금 산정
    • 연간 상여금 총액: 5,000,000원
    • 연차수당: 300,000원 (30,000원 × 10일)
    • 3개월간 임금 총액: 5,220,000원 (기본급과 기타 수당 합계)
    • 상여금 가산액: 1,250,000원 (연간 상여금 × 3개월 / 12)
    • 연차수당 가산액: 75,000원 ((연차수당 × 연차수당 일수) × 3개월 / 12)
    • 평균 임금: 71,141원 ((5,220,000원 + 1,250,000원 + 75,000원) / 92일)
  2. 퇴직금 계산
    • 퇴직금 = 6,315,008원 (1일 평균임금 × 30일 × 재직일수 / 365일)

이상으로 예제를 통해 퇴직금을 계산하는 과정을 살펴보았습니다. 계산 방법은 간단하지만, 실제로는 여러 요소를 고려해야 합니다. 따라서 정확한 퇴직금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상세한 정보와 계산이 필요합니다.

 

반응형